본문 바로가기
전산회계1급기출문제 특강

[초이쌤] 104회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 이론시험해설강의

by 나의블로그 2022. 10. 23.
반응형

초이쌤104회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 이론시험 해설강의

104회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이론시험 강의 영상입니다.

 강의를 시작합니다.

초이쌤 104회 전산회계1급 기출문제 - 이론시험 해설강의

↓↓↓↓↓↓↓↓↓↓↓↓↓↓↓↓↓↓

https://youtu.be/HFF3aQYuh5w

 

다음 중 기말재고자산 단가 결정 방법이 아닌 것은?

선입선출법 총평균법 연수합계법 이동평균법

 

[] 연수합계법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중 하나이다.

 

 

다음 자료를 참고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현금 1,000,000
정기예금 3,000,000
우편환증서 50,000
당좌예금 400,000
보통예금 500,000
단기매매증권 1,000,000
900,000 1,950,000 2,900,000 4,950,000

 

[] 1,950,000
현금 1,000,000우편환증서 50,000보통예금 500,000당좌예금 400,000

 

 

다음 중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과 관련하여 성격이 다른 것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설치 건물의 외벽 도색작업
파손된 타일의 원상회복을 위한 수선 보일러 부속품의 교체

 

[] 자본적 지출에 해당하며, 나머지는 수익적 지출에 해당한다.

 

 

 

다음 중 무형자산과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내부 창출된 무형자산이 인식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한다.

산업재산권, 저작권, 개발비 등이 대표적이며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영업권은 포함하지 않는다.

물리적 형체는 없지만 식별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 자산이다.

내부 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 [일반기업회계기준 문단 실2.35] 무형자산은 산업재산권, 저작권, 개발비 등과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영업권을 포함한다.

 

 

다음 중 유가증권의 취득원가 및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기매매증권은 공정가치로 평가하며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매도가능증권은 시장성이 있는 경우 공정가치로 평가하며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단기매매증권의 취득부대비용은 발생 즉시 비용으로 처리한다.

만기보유증권의 취득부대비용은 취득원가에 가산한다.

 

[]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은 자본항목(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다.

 

 

다음 중 자기주식거래와 관련하여 자본항목의 성격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자기주식처분이익자본조정

자기주식처분손실기타포괄손익누계액

감자차익자본조정

감자차손자본조정

 

[] 자기주식처분이익과 감자차익은 자본잉여금으로, 자기주식처분손실은 자본조정으로 계상한다.

 

 

 

 

 

 

 

 

 

다음 자료는 1231일 결산자료이다. 상품 매출원가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기초상품재고액 10,000,000
당기상품매입액 5,000,000
기말상품재고액 4,000,000
매입에누리 및 매입환출 700,000
() 상품 11,000,000   () 상품매출원가 11,000,000
() 상품매출원가 10,300,000   () 상품 10,300,000
() 상품 11,300,000   () 상품매출원가 11,300,000
() 상품매출원가 10,000,000   () 상품 10,000,000

 

[]

상품매출원가기초상품재고액 10,000,000당기순매입액 4,300,000기말상품재고액 4,000,000
10,300,000

당기순매입액당기상품매입액 5,000,000매입에누리 및 매입환출 700,0004,300,000

 

 

다음 중 거래의 8요소와 그 예시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비용발생 () 자산감소신용카드 연회비 1만원이 신용카드로 결제되다.

() 자산증가 () 수익발생보통예금의 결산이자 100만원이 입금되다.

() 자산증가 () 부채증가원재료 2,000만원을 외상으로 구입하다.

() 부채감소 () 부채증가외상매입금 1,000만원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다.

 

[] () 수수료비용 ××× (비용발생) () 미지급비용 또는 미지급금 ××× (부채증가)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기말원재료재고액 기초재공품재고액 당기제품제조원가 기말제품재고액

 

[] 기말제품재고액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중 원가의 분류 방법과 종류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원가의 행태에 따른 분류변동원가와 고정원가

통제가능성에 따른 분류역사적원가와 예정원가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직접원가와 간접원가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관련원가와 매몰원가

 

 

[] 통제가능성과 관련된 원가는 통제가능원가와 통제불능원가로 구분된다. 역사적원가와 예정원가는 시점에 따른 분류이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초원가와 가공원가를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구분 직접비 간접비
재료비 100,000 50,000
노무비 200,000 100,000
제조경비 0 50,000
  기초원가   가공원가
300,000   200,000
200,000   250,000
300,000   400,000
450,000   50,000

 

[]

기초원가직접재료비 100,000직접노무비 200,000300,000

가공원가직접노무비 200,000간접재료비 50,000간접노무비 100,000제조경비 50,000
400,000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은 기계작업시간당 80원이고, 실제기계작업시간이 50,000시간일 때 제조간접비 배부차이가 130,000원 과대배부인 경우 제조간접비 실제 발생액은 얼마인가?

2,500,000 3,870,000 4,000,000 4,130,000

 

[] 3,870,000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 4,000,000과대배부차이 130,000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50,000시간×804,000,000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는 것은?

부동산의 담보제공

사업장별로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와 의무 중 일부를 승계하는 사업양도

사업용 자산을 지방세법에 따라 물납하는 것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수용 및 국세징수법에 따른 공매

 

[] 사업장별로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경우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않는다.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표준에 포함하는 것은?

공급에 대한 대가의 지급이 지체되었음을 이유로 받는 연체이자

매출에누리, 매출환입 및 매출할인

수입하는 재화에 대한 관세의 과세가격과 관세 및 개별소비세

공급받는 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파손·훼손 또는 멸실된 재화의 가액

 

[]

부가가치세법 제29(과세표준) 2, 재화의 수입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은 그 재화에 대한 관세의 과세가격과 관세, 개별소비세, 주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및 교통·에너지·환경세를 합한 금액으로 한다.

부가가치세법 제29조 제5, 다음 각 호의 금액은 공급가액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1. 재화나 용역을 공급할 때 그 품질이나 수량, 인도조건 또는 공급대가의 결제방법이나 그 밖의 공급조건에 따라 통상의 대가에서 일정액을 직접 깎아 주는 금액

2. 환입된 재화의 가액

3. 공급받는 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파손되거나 훼손되거나 멸실한 재화의 가액

4.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과 직접 관련되지 아니하는 국고보조금과 공공보조금

5. 공급에 대한 대가의 지급이 지체되었음을 이유로 받는 연체이자

6. 공급에 대한 대가를 약정기일 전에 받았다는 이유로 사업자가 당초의 공급가액에서 할인해 준 금액

 

 

부가가치세법상 부동산임대용역을 공급하는 경우, 전세금 또는 임대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의 공급시기로 옳은 것은?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용역의 공급이 완료된 때
대가를 받은 때 예정신고기간 또는 과세기간 종료일

 

[]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29조 제2항 제2, 사업자가 부동산 임대용역을 공급하는 경우로서 예정신고기간 또는 과세기간의 종료일

 

 

 

반응형